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23

가톨릭대학교 정규PT중입니다. 2020. 8. 5.
b01lers - chuggachugga 나름 쉬운 문제이다. 알맞은 코드를 입력해야되는 것 같다. 바로 아이다로 분석을 시작했다. '뭐가 이렇게 많지?' 라고 겁먹었지만 그럴 필요 없다. 메인 함수만 보면 된다. 일단 코드를 입력하고 비교하는 것이 키포인트이기 때문에 입력받는 함수를 찾았다. 여기서 v33[1]이 문자열의 크기라고 유추할 수 있다. fmt_Fscan의 포맷이 뭔지는 잘 모르겠는데, 실제로 코드에 3글자아래로 입력하면 에러가 뜬다. 그럼 그 아랫부분의 코드를 살펴보자 S[2]가 't'인지 비교하고,,,,S[1]은 'c'인지 비교하고 S[3]^'t'의 결과가 18인지 비교해보면... 맙소사 ctf라는글자가 완성된다. 덤으로 S[4]가 '{'에서 쐐기를 박는다. 그럼 여기 나와있는 코드들을 쭉 조합 및 연산하여 플래그를 구하면 된다.. 2020. 3. 18.
Rice Tea Cat Panda - Notice Me Senpai 이건 무슨 문제지.. 딱 봐도 tlyrc_o_0pnvhu}{137rmi__i_omwm 을 잘 조합하면 플래그가 나올 것 같다. 우린 rtcp{}라는 플래그형식도 알고있다. 그래서 조합을 해보는데... 쉽지 않다... 어떤 규칙이 있을까 엄청 오래 구글링한 끝에 Rail Fence Crypto를 발견했다. (절대 어려운 암호학이 아니라는 전제하에 기초 암호학 블로그를 뒤졌다.) 더보기 Rail Fence Cipher 쉽게 말해 평문을 대각선으로 쓰고 열로 읽는 암호화방법이다. 예를 들어 key(Rail)를 정한다.(2이상) ILOVEYOU라는 평문을 Key를 2로하여 암호화하면 I O E O L V Y U IOEOLVYU가 되겠다. 의문이 있다. key가 뭔지 어떻게 알지? 이건 나도 아직 잘 모르겠다. .. 2020. 2. 5.
Rice Tea Cat Panda - Web Invaders 문제를 클릭하면 저런 게임이 뜬다. 느낌 저 외계인 같은 적의 공격은 피하고 내 똥모양 비행기로 공격해서 점수를 획득하면 된다. 게임을 해보면 은근히 어렵고.... 어렵다. 힌트가 있어서 기대를 하고 클릭을 해보니까 의미가 없어보인다. 사실 이 문제는 치트엔진을 웹에다가도 걸 수 있다는 한 친구의 말로 풀 수 있었다. (거의 그 친구가 다 푼거나 마찬가지..) 치트엔진을 한 번 걸어서 TeaClicker와 비슷하게 풀어보자 일단 치트엔진을 잡는 법은 게임이 실행되고있는 PID를 찾아서 치트엔진에 붙는다. 그리고 나서 변화의 유무로 답에 접근하면 되는데, 슈팅게임이라서 조작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해결책도 그 친구가 제시해줬는데 WebGL insight라는 툴로 frame을 정지시킬수가 있다. 자.. 2020. 2.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