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준일기/실무면접
0809 - 면접 복기
zooonique
2021. 8. 9. 19:39
반응형
Q. Telnet과 FTP를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취약점과 대응 방안은?
Q. 재택 근무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위협은?
Q. 악성코드에 감염된 PC를 확인했을 때, 대응방안은?
Q. 기술적 역량 안에서 본인의 강점과 약점은?
Telnet
- 원격장치에 로그인 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이언트 서버 응용
[취약점]
- 모든 데이터가 평문 전송
- 스니핑 & ARP 스푸핑 -> 전송되는 패킷 정보를 획득하여 악용 -> SSH의 암호화를 통해 보완
- 텔넷 하이재킹 -> TCP는 시퀀스 번호만 보기에 이를 악용
- Reverse Telnet Attack -> 서버의 아웃바운드 정책에서 필터링이 없을 때, Netcat을 활용하여 Reverse Telnet
FTP
- TCP/IP 네트워크 상에서 파일 교환하는 프로토콜
[취약점]
- FTP Bounce Attack : FTP 클라이언트가 실행되는 호스트가 아닌 다른 호스트를 지정하여도 서버는 데이터를 전송
- 포트 스캐닝 : 클라이언트 자료 전송 요청시, 포트 연결 성공/실패 출력 메시지를 포트 스캐닝 스크립트에 이용
- Fake mail : 메일의 헤더 부분을 FTP Bounce를 이용하여 정보가 허위로 입력된 거짓 메일 전송
대응 : FTP 서버에 접속 가능한 IP 주소 필터링, 익명 사용자가 파일 업로드 못하게 제한, 클라이언트와 같은 호스트로만 접속하게 설정, 20번 이외의 포트 접근 제한
- TETP Attack : TETP는 UDP를 사용, 인증 절차가 없으므로 접근제어가 설정 되어 있지 않으면 임의로 디렉토리 및 파일 접근 가능
- 스니핑 : ID / PW 접속 시 암호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네트워크 스니핑 가능
아무래도 Telnet과 FTP를 동시에 물으신게 데이터전송시에 암호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부분을 물으신 것 같다.
<출처>
https://yehey-study.tistory.com/entry/FTP-%EC%B7%A8%EC%95%BD%EC%A0%90-%EB%B0%8F-%EB%B3%B4%EC%95%88
FTP 취약점 및 보안
FTP 취약점 FTP Bounce Attack :FTP 서버가 데이터 전송 시 목적지를 검사하지 않는다는 점을 이용한 공격 (FTP 클라이언트가 실행되는 호스트가 아닌 다른 호스트가 지정되어도 서버는 데이터를 전송하
yehey-study.tistory.com
https://itsandtravels.blogspot.com/2018/11/remote-login-telnet-ssh.html
Remote Login : Telnet 및 SSH에 대하여
Telnet과 SSH의 동작 원리 설명
itsandtravels.blogspot.com
반응형